국민 내비게이션 티맵이 유료화를 선언했다. 이에 대한 내용과 KT, LG 등 3사의 내비게이션도 정리해본다.
티맵 유료화 선언 내용의 정리
1. 적용시점
- 4월 19일 종료
2. 유료화 내용
- 기존에는 데이터 이용료를 무료로 제공해왔으나, 향후 유료로 전환
- 즉 일반 앱처럼 데이터가 차감된다는 의미임
- 정리하면 무제한요금을 써라! 이 말임
3. SK 측의 입장
- 급작스러운 유료화로, 피해를 볼 수 있는 영업인들을 위해서 앞으로
6개월 동안 티맵 사용자들에게 100MB를 추가로 제공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겠다 함
티맵이 유료화됩니다.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인 티맵, 월간 사용자가 1천 300만명에 달하는 엄청난 사용량을 자랑하는 티맵이 유료화가 된다. 네이게이션 시장 점유율 70%에 달하는 압도적 1위 프로그램이다. 티맵의 유저로서 과연 어떠한 유료화가 된다는 것이지 알아본다.
- 기존에 티맵은 데이터 이용료가 없었음, 즉 무료 (나도 이번에 처음 알았음)
- 적용 시점인 4월 19일 이후로는, 앱을 사용할 때 데이터가 차감된다고 함
- 그렇다면 과연 데이터가 얼마나 사용되는 것 인지 궁금했다. SK 관계자의 인터뷰에 따르면 평균 한 달에 50MB 정도를 사용한다고 한다. 일반인 기준일 것이고, 영업택시나 운전을 많이 하시는 분들은 당연히 더 나올 듯하다.
- 이러한 불편함 해소를 위해서 SK에서 6개월가량, 100MB를 추가로 제공해서 데이터 사용으로 피해를 보시는 분들께 혜택을 준다고 한다. 일반인 들은 괜찮을 듯 하나, 영업으로 하시는 분들은 여전히 부족할 것 같다.
3사 통신사 별 내비게이션 비교 정리
통신사별로 내비게이션을 통한 정보력의 싸움은 매우 중요하다. 네비게이션을 통해 소비자의 이동 패턴으로 시작되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통신사에는 기본 내비게이션이 있다.
SK텔레콤의 T맵과 KT, LG유플러스의 원 내비의 싸움이다. T맵이야 워낙 유명하니, 원 내비는 생소할 것이다. 17년 7월부터 KT와 LG가 손을 잡고 원 내비를 출시하여 서비스와 기능들을 통합했다. 당연히 KT와 LG 고객들은 데이터가 공짜이다. 전체적으로 사용해본 입장에서 내용을 정리하면 이렇다.
- 티맵의 장점 : 괜히 70%의 점유율답게 안정성 좋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칼 같은 시간 계산
- 티맵의 단점 : 다소 정보가 많음, 광고 등으로 피로감이 있음
- 원 내비의 장점 : 실시간 정보 반영이 빠름(예전에는 티맵이 빨랐는데, 요즘은 모두 티맵을 써서 그런가 의외의 빠른 길을 찾기가 힘듦), 의외로 막힐 때 나이스 한 길을 찾아냄
- 원 내비의 단점 : 인터페이스가 낙후된 느낌이 있음, 가끔 엉뚱하게 돌아가는 골목길로 안내하는 경우가 있음
'비밀노트Ⅰ[정치,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장 단일화 오세훈 확정 그리고 오세훈 관련주 (0) | 2021.03.23 |
---|---|
종합부동산세 종부세 계산기, 종부세가 재산세를 넘게 된 이유정리 (0) | 2021.03.21 |
윤여정 아카데미 조연상 미나리 관련주 정리 (0) | 2021.03.16 |
농지 변경 지목 정리 경자유전,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대통령 농지 (0) | 2021.03.14 |
미라클 모닝 정리 아침형 인간과 차이, 2주간 경험기 (0) | 2021.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