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밀노트Ⅱ[부동산, 정책, 이슈]/정책

주4일 근무제 나라, 주 4일 근무 시대의 예측과 공약들

by DTenabler 2021. 3. 6.

코로나가 가져온 사회적 변화의 속도가 빠르다. 주 5일 시대가 끝나는가?

코로나로 인해 다양한 사회적 분야에서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기업들은 타의에 의해 재택근무를 시행함으로써 업무의 효율화와 비대면 업무 수행에 대한 가능성을 맛보았다. 이러한 이유에서 발 빠른 기업들은 효율성 기반의 근무제도를 탄력적으로 수정하고 개선에 착수를 하였다. 코로나가 가져온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효율성이 이야기되면서 자연스럽게 주 5일 제도가 거론되고 있다. 이제는 주 4일 제도를 논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주 5일 제도 시행시, 경제계에서는 반대의 목소리가 매우 강했다. 경기 침체로 나라가 어려워질 수 있음을 이야기했었다. 물론 그 과정에서 많은 분들이 힘들었겠지만, 우리나라는 2004년 주 5일제를 시행한 후 성장을 거듭해 왔다. 그렇다면 주 4일제 역시 성공적으로 정착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주 4일제를 시행하고 있는 나라는?

대표적으로 독일의 IT기업인 아윈(Awin)의 경우는 21년 1월 부터 주 4일 근무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급여나 복지 등을 줄이지 않고 시행하고 있다. IT기업이라면 고객사들이 있고 그들의 상당수가 금요일에 근무를 할 텐데 어떻게 고객을 대응하는지가 궁금했다.  아담 로스 대표이사는 " 무엇보다 금요일 접수되는 고객의 요청에 대한 빠른 대응이 중요했다. 이를 위해서 직원 80여 명이 TF형태로 자원해 함께 방안을 찾고 노력해서, 지금은 안정화를 이루었다"라고 한다. 그리고 그는 직원들의 정신건강을 위하여 회사가 노력을 많이 해야 하며, 이러한 부분이 직원들의 동기부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말했다.

 

뉴질랜드의 유니래버 는 20년 12월부터 주 4일제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전면 시행이 아닌 일부 부서에 대해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라 한다. 올해 성공적으로 진행이 될 경우 내년 전 세계 15만 명의 직원들이게 전향적으로 적용을 검토해본다고 한다.

 

 

주 4일제 시행을 위해서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5주간, 금요일에 쉬는 주 4일을 테스트를 하였다. 그결과 생산성이 동기 대비 40% 증가한 결과가 있었다는 발표를 했다.  회의시간을 중리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비대면 기술을 도입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였더니, 오히려 생산량이 증가하는 긍정적 결과가 발생했다고 한다.

 

 

정리하며

과로사 등으로 직원들에 대한 건강 문제가 사회적 이슈화가 되면서, 아시아에서도 주 4일 근무에 대한 여러 가지들이 검토 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선거철 공약등으로 주 4일 제도가 점화되고 있고, 인도, 일본 등에서도 주 4일 근무제도에 대해서 국가적 차원에서의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도 언제 가는 주 4일 제도가 시행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는 충분히 시스템적으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다. 조금씩 준비해서 기업근 생산성과 직원 만족도를 높이고, 직원들은 워라벨을 높일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